바타비아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타비아 공화국은 1795년 프랑스 혁명 전쟁의 영향으로 네덜란드에서 성립된 공화국이다. 제4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패배와 빌헬름 5세의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면서,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은 애국파가 봉기했으나 진압당하고, 프랑스 혁명군이 네덜란드를 점령하면서 바타비아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프랑스의 지배를 받으며 헌법 제정을 둘러싼 갈등과 쿠데타를 겪었고, 개혁 정책을 추진했지만, 나폴레옹의 간섭으로 1806년 멸망하고, 이후 홀란드 왕국을 거쳐 프랑스에 합병되었다. 바타비아 공화국은 네덜란드 역사에서 단일 국가 체제 수립과 민주주의적 개혁을 시도하며 네덜란드 왕국 발전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타비아 공화국 - 뤼네빌 조약
뤼네빌 조약은 1801년 프랑스와 오스트리아가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의 결과로 체결한 강화 조약으로, 프랑스의 라인 강 좌안 합병 승인, 여러 공화국 독립 인정, 토스카나 대공국 할양 등 유럽 정치 지형 변화와 신성 로마 제국 해체에 영향을 미쳤다.
바타비아 공화국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바타비아 |
모국어 명칭 | 바타프세 레퓌블리크 (1795-1801) 바타프스 헤메네베스트 (1801-1806) |
프랑스어 명칭 | 레퓌블리크 바타브 |
제국 | 프랑스 제1제국 |
![]() | |
![]() | |
국가 모토 | 헬레이크헤이트, 브레이헤이트, 브루데르스하프 (자유, 평등, 박애) |
지위 | 자매 공화국 |
시대 | 프랑스 혁명 전쟁 |
정부 형태 | 단일 국가 혁명 공화국 |
수도 | 덴하흐 |
공용어 |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
기타 언어 | 서프리슬란트어, 독일어, 네덜란드 저지 독일어 |
통화 | 네덜란드 휠던 |
현재 국가 |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
데모님 | 바타비아인 |
정치 | |
행정 정부 | 혁명위원회 (1795년) |
행정 정부 | 바타비아 공화국 주 총독 (1795-1796년) |
행정 정부 | 바타비아 공화국 국민의회 (1796-1798년) |
행정 정부 | 행정부 (1798-1801년) |
행정 정부 | 국가 위원회 (1801-1805년) |
행정 정부 | 루트허르 얀 스힘멜페닌크 (1805-1806년) |
역사 | |
시작 | 바타비아 혁명 (1795년 1월 19일) |
조약 | 헤이그 조약 (1795년 5월 16일) |
종료 | 홀란트 왕국 (1806년 6월 5일) |
이전 국가 | 네덜란드 공화국 |
다음 국가 | 홀란트 왕국 |
인구 | |
1795년 | 1,883,009명 |
1806년 | 2,178,000명 |
2. 배경
제4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 네덜란드가 패배하면서, 빌헬름 5세의 권위주의 통치에 대항하는 애국파(Patrioten)의 봉기가 일어났다. 그러나 이 봉기는 1787년 9월 빌헬름 5세의 처남인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의 군사 개입으로 빠르게 진압되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애국파는 프랑스로 망명하였고, 네덜란드는 로렌스 피터 판 데 스피겔을 중심으로 기존 질서(ancien régime)가 강화되었다.
이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애국파들은 혁명이 추구하는 정치적 이상을 지지하며 프랑스 혁명군에 합류하여 조국을 해방시키고자 했다.[8]
2. 1. 제4차 영국-네덜란드 전쟁과 애국파의 봉기
제4차 영국-네덜란드 전쟁[5]은 네덜란드에 재앙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이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빌헬름 5세[6]의 권위주의 통치에 대항하는 애국파(Patrioten)의 봉기가 일어났다. 그러나 이 봉기는 1787년 9월 빌헬름 5세의 처남인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의 개입으로 인해 빠르게 진압되었다.
대부분의 애국파는 프랑스로 망명했고, 네덜란드의 기존 질서(ancien régime)는 대연합 대표 로렌스 피터 판 데 스피겔을 통해 네덜란드 정부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했다. 영국-프로이센 보호령의 사실상의 지위는 1788년 보장 조약(영국 왕국(Great Britain)과 프로이센 왕국(Prussia)이 보증인으로 활동)과 네덜란드 공화국, 프로이센, 그리고 영국 사이의 삼국 동맹에 의해 국제적으로 공식화되었다. 네덜란드는 강대국들의 꼭두각시에 불과했다.[7]
2. 2. 프랑스 혁명의 영향
제4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이후, 빌헬름 5세의 독재정권에 대항한 패트리어트(애국파)의 반란은 1787년 9월 빌헬름 5세의 처남인 프레드릭 빌헬름 2세의 개입으로 실패하였다. 대부분의 패트리어트들은 프랑스로 망명했고, 네덜란드의 "앙시앵 레짐"은 강화되었다.프랑스 혁명은 애국파들이 추구했던 많은 정치 사상을 담고 있었다. 애국파는 프랑스 혁명을 열렬히 지지했고, 프랑스 혁명군이 혁명 이념을 전파하기 시작했을 때, 자신들의 조국을 억압에서 해방시키고자 프랑스 혁명군에 합류했다.[47]
3. 바타비아 공화국의 성립 (1795년)
프랑스 혁명 전쟁은 총독의 군대에게 재앙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1794년에서 1795년 사이의 혹독한 겨울, 샤를 피셰그루 장군 휘하의 프랑스 군대는 헤르만 빌럼 다엔델스 장군 휘하의 네덜란드 부대와 함께 얼어붙은 큰 강들을 건넜다. 이 강들은 전통적으로 네덜란드를 침략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했다. 많은 네덜란드 사람들은 프랑스의 침입을 호의적으로 바라보았고, 종종 이를 해방으로 여기기도 했다.[10] 이러한 상황 덕분에 프랑스군은 총독과 그의 오스트리아 및 영국 동맹군의 저항을 빠르게 무너뜨릴 수 있었다. 많은 도시에서는 프랑스군이 도착하기 전에 혁명이 일어나 혁명 위원회가 시 정부와 (임시) 중앙 정부를 장악했다.[11] 빌럼 5세는 1795년 1월 18일 어선을 타고 영국으로 도망쳐야 했다.[12]
3. 1. 프랑스 혁명군의 네덜란드 점령
프랑스 혁명 전쟁은 총독의 군대에게 재앙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1794년에서 1795년 사이의 혹독한 겨울, 샤를 피셰그루 장군 휘하의 프랑스 군대는 헤르만 빌럼 다엔델스 장군 휘하의 네덜란드 부대와 함께 얼어붙은 큰 강들을 건넜다. 이 강들은 전통적으로 네덜란드를 침략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했다. 많은 네덜란드 사람들은 프랑스의 침입을 호의적으로 바라보았고, 종종 이를 해방으로 여기기도 했다.[10] 이러한 상황 덕분에 프랑스군은 총독과 그의 오스트리아 및 영국 동맹군의 저항을 빠르게 무너뜨릴 수 있었다. 많은 도시에서는 프랑스군이 도착하기 전에 혁명이 일어나 혁명 위원회가 시 정부와 (임시) 중앙 정부를 장악했다.[11] 빌럼 5세는 1795년 1월 18일 어선을 타고 영국으로 도망쳐야 했다.[12]3. 2. 바타비아 혁명과 공화국 선포
프랑스 혁명 전쟁은 총독의 군대에게 불리하게 진행되었다. 1794년에서 1795년 사이의 혹독한 겨울, 샤를 피셰그루 장군 휘하의 프랑스 군대는 헤르만 빌럼 다엔델스 장군 휘하의 네덜란드 부대와 함께 얼어붙은 강을 건너 네덜란드를 침공했다. 많은 네덜란드인들은 프랑스 군의 침입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고, 이를 해방으로 여기기도 했다.[10] 이러한 상황 덕분에 프랑스군은 총독과 그의 오스트리아 및 영국 동맹군의 저항을 빠르게 무너뜨릴 수 있었다. 많은 도시에서 프랑스군이 도착하기 전에 혁명이 일어나 혁명 위원회가 시 정부와 (임시로) 중앙 정부를 장악했다.[11] 빌럼은 1795년 1월 18일 어선을 타고 영국으로 도망쳐야 했다.[12]4. 바타비아 공화국의 역사적 전개
프랑스는 자신들을 해방자로 내세웠지만, 새로운 바타비아 공화국 대표들과 프랑스 공화국 대표들 사이의 격렬한 협상 끝에 1795년 5월 16일 가혹한 헤이그 조약이 체결되었다.[14] 이 조약은 영토 할양과 막대한 배상금 외에도 네덜란드가 2만 5천 명의 프랑스 점령군을 유지하도록 의무화했다.[14] 초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 8월 3일부터 바타비아 공화국의 프랑스 군인들에게는 건전한 네덜란드 통화로 지급하고, 앞으로는 아무도 프랑스 아시냐를 받아들일 의무가 없다는 것이 발표되었다.[16] 이로써 네덜란드 공화국은 종속국으로서의 신분이 영국과 프로이센에서 프랑스로 바뀌었다.[17] 이후 네덜란드는 프랑스의 지시에 따라 외교 및 군사 정책을 수행하게 되었고, 경제 정책 또한 사실상 프랑스의 이익에 종속되었다.[18]
그러나 프랑스의 제약 속에서도 네덜란드 혁명가들이 시행하려고 했던 개혁 프로그램은 대부분 네덜란드의 필요와 열망에 의해 추진되었다.[18] 네덜란드의 정치적 사건은 주로 네덜란드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프랑스는 쿠데타 중 적어도 하나에 책임이 있었고, 프랑스 대사는 종종 총독처럼 행동했다.[18]
새로운 정권은 입법 명령만으로는 변화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곧 알게 되었다. 헌법에서 적절하게 작동한 부분은 간접 민주주의 실험이었다. 헌법이 시행되는 기간 동안, 정부의 각 기관에 투표하는 대표자를 선출하는 기본 의회 시스템은 효율적으로 작동했고, 유권자들의 참여를 유지했다. 그러나 공화국이 진정한 민주주의였기 때문에, 정권의 다른 목표는 달성하기가 쉽지 않았다. 선거는 종종 헌법에 명시된 단일 국가와 그에 따른 다른 혁신에 매우 반대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직책에 임명했다.[45]
최고위급에서는 헌법에 위트뵈렌드 베빈트 구성원에 대한 연령 요건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침착한 애국자(Patriot) 관리들의 선출을 선호하고 야코부스 스포어스, 게릿얀 피이먼, 알렉산더 고겔과 같은 더 재능 있는 임명된 아젠텐을 차별했다. 베빈트의 성향은 그 후 몇 년 동안 더 보수적으로 변했다. 그러나 아젠텐들은 활발하게 일했고, 옛 연방 구조의 정체성을 없애려는 의도적인 시도로 국가의 낡은 행정 조직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한때 강력했던 홀란트 주는 암스텔(암스테르담과 그 주변 지역), 텍셀(북부 반도), 델프(남부 지역)의 세 부분으로 나뉘었고, 다른 주들은 오베라이셀과 드렌테가 오우덴 이셀(Ouden Yssel)로, 프리슬란트와 그로닝언이 에임스 주(Eems department)로 합병되는 등 종종 더 큰 단위로 합병되었다. 목표는 동일한 수의 기본 의회를 가진 단위로 국가를 조직하는 것이었다. 1799년 3월에 실시된 이러한 새로운 단위의 행정 기관에 대한 첫 번째 선거에서, 오우덴 이셀의 요한 아렌드 드 보스 판 스테인위크와 같이 구체제를 대표하는 사람들이 권력을 잡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모든 종류의 다양한 애국자 파벌의 화해를 통해 "국가 통합"을 달성하려는 정치적 노력이 고겔이 구상한 효율적인 국가 단일 국가를 만드는 노력을 방해했음을 의미한다.[46]
4. 1. 헌법 제정을 둘러싼 갈등
초기 혁명가들은 기존 연방 공화국의 헌법적 기구를 활용했다. 1787년 애국자 섭정들의 숙청 이후 중단되었던 지점부터 다시 시작하여, 숙청된 오라니예파 섭정들의 직책을 넘겨받았다.[19] 연방 의회의 정치적 구성은 인사 변화로 인해 상당히 변했지만, 기존 특수주의 이익의 옹호자들을 다수 유지했다. 따라서 혁명가들의 첫 번째 과제는 일반령의 차별과 특정 소수자(가톨릭교도, 유대인)에 대한 차별을 가진 연방 국가를 개혁하고, 소수자가 해방되어 기존의 굳건한 이익이 보다 민주적인 정치 질서로 대체되는 단일 국가로 나아가는 것이었다.[20] 첫 번째 단계로 브라반트의 대표들이 연방 의회에 입성했다.[21]1795년 여름, 인민 사회(클럽)와 ''wijkvergaderingen''(구역 회의)으로 구성된 풀뿌리 민주주의 운동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정부에 대한 인민의 영향력을 요구했다. "총회" 형태의 일종의 병행 정부가 도시 정부와 지방 주 옆에 생겨나 기존 질서와 반복적으로 갈등을 빚었다. 1795년 가을, 연방 의회는 "헌법적 수단"을 통해 자신을 대체하여 완전한 행정, 입법 및 제헌 권한을 가진 국민의회로 평화적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마련하기 시작했다.[22] 이 계획은 처음에 보수주의자들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다. 프리슬란트와 그로닝언에서는[23] 이러한 반대를 극복하기 위해 무력까지 사용되었다. 새로운 국민의회는 1796년 3월 1일 헤이그에서 소집되었다.[24]
새로운 국민의회에는 구 혁명적인 삼부회와 마찬가지로 급진적으로 대립하는 당들이 있었다. 피터르 프레데(Pieter Vreede), 요한 발케나르(Johan Valckenaer), 피터르 파울루스(Pieter Paulus)가 이끄는 단일주의 민주주의자들과 야코브 아브라함 더 미스트(Jacob Abraham de Mist)와 제라르트 빌럼 판 마를(Gerard Willem van Marle)과 같은 연방주의자들이었다.[25] 그러나 이러한 양극 사이에는 광범위한 의견의 연속선이 있었다. 파울루스의 갑작스러운 죽음(통합자 역할을 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이후 연방주의자들이 우위를 점했다. 보수적인 연방주의자들은 의회 전술에 더 능숙했다. 뤼트거르 얀 쉼멜페닌크(Rutger Jan Schimmelpenninck)는 특히 이 분야에서 능숙함을 보였다. 이로 인해 민주주의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쌓이자 그들은 여론과 의회 외 활동에 호소하게 되었다. 한편, 의회는 헌법 위원회를 설치했고, 1796년 11월에 기존의 연방 제도를 계속하는 것과 같은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것은 단일주의자들에게 완전히 용납할 수 없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 초안은 이후 타협을 통해 정반대로 수정되었고, 마침내 새로운 헌법의 기초가 되었다.[26] 의회는 이제 교회와 국가의 분리, 소수 민족의 해방과 같은 다른 중요한 문제들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국가 기관은 간접 선거로 선출되는 양원제의 '입법부'와 5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프랑스 디렉토리(French Directory)와 유사한 행정부가 될 것이었다. 최종 결과는 프랑스 헌법 1795년과 매우 유사했다. 이것은 1797년 5월 10일 의회에서 승인되었다.[27]
4. 2. 1798년 쿠데타와 1801년 헌법
1798년 1월, 프랑스의 지원을 받은 급진파는 쿠데타를 일으켜 '단일 불가분의 바타비아 공화국'을 선포하며 권력을 장악했다.[18] 그러나 같은 해 6월, 온건파는 다시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잡고 1798년 헌법을 시행했다.[18] 1798년 헌법은 제한적인 민주주의 요소를 포함했지만, 권위주의적인 성격은 여전했다.1801년, 프랑스의 압력으로 다시 쿠데타가 발생했다. 아우구스틴 게르하르트 베지에르(Augustijn Gerhard Besier) 집정관은 행정부 권한 확대와 헌법의 연방 분권화를 목표로 프랑스 8년 헌법을 본뜬 헌법 개혁을 추진했다.[75] 그러나 대표 의회는 이 개혁안을 거부했다.[75]
`Uitvoerend Bewind` (집행정부)는 재연방화에 무게를 두고 새 헌법 초안에 대한 국민투표를 강행했다.[76] 프랑스군 사령관 오제로 장군은 의회를 폐쇄하고 반대파를 체포했다.[76] 국민투표 결과, 유권자 대다수는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고, 이사들은 기권표를 '묵시적 찬성'으로 간주하는 방식으로 1801년 헌법을 통과시켰다.[76]
1801년 헌법은 입법부의 권한을 축소하고 `Staatsbewind` (국무위원회)로 알려진 행정부의 권한을 확대했다.[77] 선거는 형식적인 것으로 축소되었고, 국무위원회가 자체 선출을 통해 구성원을 12명으로 늘렸다.[77] 홀란드를 제외한 구 주들이 재건되었고, 인구조사 참정권 제도가 도입되었다.[77]
이러한 변화로 민주주의자들은 축출되고, 애국자 통치자들과 오랑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았다.[78] 1795년 혁명의 상징인 ''Vrijheid, Gelijkheid, Broederschap''(자유, 평등, 박애) 표어는 제거되고, 자유의 나무도 사라졌다.[79] 길드 폐지는 유지되었지만, 지역 조례를 통해 직업과 무역 규제가 다시 시행되는 등 구체제가 복원되었다.[79]
4. 3. 개혁 정책 추진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탄생한 바타비아 공화국은 초기부터 개혁을 추진했다. 중앙 정부는 국가 행정 조직을 재편하고 재정 개혁을 시도했다.[18] 특히 재무관 알렉산더르 고헐(Alexander Gogel)은 중앙집권적 재정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개혁을 추진했으나, 지방 세력의 반발로 어려움을 겪었다.[73]1801년, 프랑스의 샤를 루이 위게 드 세몽빌(Charles Louis Huguet, marquis de Sémonville) 대사는 아우구스틴 게르하르트 베지에르(Augustijn Gerhard Besier) 등과 협력하여 프랑스 8년 헌법을 본뜬 새로운 헌법 개혁을 추진했다.[74] 그러나 이 개혁안은 의회의 반대에 부딪혔다.[75]
이에 게릿 피이만(Gerrit Pijman)을 중심으로 한 집행정부(`Uitvoerend Bewind`) 다수파는 1801년 9월 14일 독단적으로 주 의회를 소집하여 새 헌법 초안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의회는 이를 불법으로 규정했으나, 프랑스군 사령관 피에르 오주로(Pierre Augereau) 장군은 의회를 폐쇄하고 반대파를 체포하는 쿠데타를 일으켰다.[76]
국민투표 결과, 유권자 416,619명 중 찬성 16,771표, 반대 52,219표로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집행정부는 기권표를 묵시적 찬성으로 간주하여 헌법을 통과시켰다.[76] 새 헌법은 입법부의 권한을 축소하고 행정부(`Staatsbewind`, 국무위원회)의 권한을 확대했다. 선거는 형식적인 것으로 축소되었고, 구 주들이 재건되었으며, 인구조사 참정권 시스템이 도입되었다.[77]
이러한 변화는 민주주의 세력을 몰아내고, 에그베르트 슈크 게롤드 유케마 반 부르마니아 렝거스와 같이 과거 오랑주의 통치자들이 복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78] 이는 사실상 반혁명이었으며, 혁명의 상징이었던 ''Vrijheid, Gelijkheid, Broederschap''(자유, 평등, 박애) 표어와 자유의 나무가 제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길드 폐지는 형식적으로 유지되었지만, 실제로는 지역 조례를 통해 직업과 무역 규제가 다시 시행되었다.[79]
4. 4. 영국-러시아 연합군의 침공 (1799년)
영국-러시아 연합군의 네덜란드 침공은 네덜란드 공화국의 인기가 낮아지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한 영국이 오라녜 가문의 복귀를 지지할 것이라는 오판에서 비롯되었다. 비록 이 원정은 실패로 끝났지만, 베르헌 전투 직전, 집행평의회(Uitvoerend Bewind) 구성원들은 프랑스와 거리를 두려는 시도를 했다.[70] 외교 담당관 반 데르 고스는 프로이센 국왕에게 중재를 요청하며, 상속황태자가 미국 헌법을 모델로 한 헌법 하의 입헌 군주가 되는 계획을 제안했다. 공화국은 중립으로 돌아가고, 영국은 북홀란드를, 프랑스는 젤란트를 점령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 제안은 거절되었고, 프랑스 디렉토리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초래했다.[71] 이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8 브뤼메르 쿠데타를 일으켜 프랑스 통령정부를 수립하면서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관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4. 5. 아미앵 조약과 짧은 평화 (1802년)

1801년 10월 아미앵 조약 협상이 시작되었다. 영국과 프랑스 간 협상(바타비아 공화국과 스페인은 소규모 참가자)에서 소국들은 곧 기정사실(faits accomplis)을 받아들여야 했다. 예비 협정은 세일론을 영국에 할양하고, 네덜란드 측과 상의도 없이 희망봉에 대한 영국의 자유 항해를 보장했다.[80] 프랑스 주재 네덜란드 대사이자 네덜란드의 전권대사였던 헤이그 조약이 네덜란드 식민지를 보장했고 프랑스가 별도의 평화를 맺지 않겠다고 약속했다고 항의했지만 소용없었다.[80] 이 별도의 평화 조약 체결 후, 영국은 소규모 프랑스 동맹국들과 개별적으로 협상하게 되었다.
네덜란드가 완전히 방치된 것은 아니었다. 프랑스의 이익이 위험에 처할 때마다 프랑스는 자국을 위해 단호하게 개입했는데, 1799년에 항복한 네덜란드 함대의 가치를 오렌지 공(Stadtholder)으로부터 영국이 매입한 금액에서 배상금으로 공제하려는 시도가 그 예이다.[80]
이 배상금은 협상에서 중요한 곁가지였다. 평화 조약의 결과로 바타비아 공화국은 영국을 포함한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고, 구 네덜란드 공화국은 돌이킬 수 없이 멸망했다. 이로써 오렌지 공과 그의 상속자들의 모든 주장은 종식되었다.[81]
오렌지 공은 이 일로 인해 불만을 느낄 만한 이유가 있었다. 그는 네덜란드에 상당한 사유지가 있었고 이제는 몰수되었다. 게다가 세습 직책의 상실은 소득 감소를 의미했다. 그의 계산에 따르면 1795년 이후 이 모든 소득의 체납액은 에 달했다. ''Staatsbewind''는 이 금액이나 그 어떤 금액도 지불하기를 완강히 거부했고, 평화 조약은 특별히 네덜란드의 지불을 면제했다. 대신 프랑스, 영국, 프로이센(전 오렌지 공의 지지자들[83]) 간에 합의가 이루어져 윌리엄(William)이 모든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가로 풀다와 코르베이 수도원의 수도원 영지로 보상받기로 했다(나사우-오렌지-풀다 공국 참조).[84]
4. 6. 나폴레옹의 간섭과 공화국의 종말 (1806년)
나폴레옹은 호전적인 평판에도 불구하고, 집권 초기에는 프랑스에 유리한 조건으로 유럽의 평화를 회복하고자 했다. 그러나 제2차 대프랑스 동맹국들은 프랑스 혁명과 그 사상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고, 나폴레옹은 그들의 배신을 확신했다. 탈레랑과 나폴레옹은 타협의 가능성을 모색했고, 프랑스는 온순한 속국들의 연쇄를 유지하되, 동맹국들을 달래기 위해 "혁명적" 요소를 제거하고자 했다. 이러한 비혁명적 온순함은 국내 갈등과 민족주의를 제거하기 위한 헌법을 통해 보장될 것이었다. 프랑스는 종속 공화국에서 헌법 개혁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이는 바타비아 공화국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였다.[72]바타비아 정부와 헌법은 민주주의를 지지하지 않았던 나폴레옹에게 불쾌감을 주었다. 특히 암스테르담 은행가들이 1800년에 프랑스가 기대했던 대규모 대출 요청을 거절한 것이 문제가 되었다.[73] 나폴레옹은 집행 위원회(Uitvoerend Bewind)를 비난하며, 연합, 권위, 능력과 사회적 지위를 갖춘 사람들을 위한 공직이라는 자신의 정치 원칙에 따른 새로운 바타비아 헌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새로운 프랑스 대사 샤를 루이 위게 드 세몽빌(Charles Louis Huguet, marquis de Sémonville)을 파견하여 이 일을 맡겼다.[74]
개혁가들 사이에서도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졌다. 단일주의 개혁가와 연방주의적 방해자들 사이의 교착 상태에 대한 좌절감은 민주주의 정치에 대한 환멸을 야기했다. 아우구스틴 게르하르트 베지에르(Augustijn Gerhard Besier) 집정관은 행정부의 권력을 확대하고 헌법을 연방 분권으로 되돌리는 프로젝트에 동의했다. 그는 세몽빌의 도움으로 프랑스 8년 헌법을 따르는 헌법 개혁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대표 의회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75]
1801년 10월, 아미앵 조약 협상이 시작되었다. 영국과 프랑스 간 협상에서 소국들은 기정사실을 받아들여야 했다. 예비 협정은 세일론을 영국에 할양하고, 희망봉에 대한 영국의 자유 항해를 보장했다. 네덜란드 대사 루트거르 얀 쉼멜페닌크(Rutger Jan Schimmelpenninck)는 헤이그 조약이 네덜란드 식민지를 보장했다고 항의했지만 소용없었다. 평화 조약의 결과로 바타비아 공화국은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고, 구 네덜란드 공화국은 멸망했다. 오렌지 공과 그의 상속자들의 주장은 종식되었다.[80]
오렌지 공은 몰수된 사유지와 세습 직책 상실로 인한 소득 감소에 불만을 품었다. ''Staatsbewind''는 이 금액을 지불하기를 거부했고, 평화 조약은 네덜란드의 지불을 면제했다. 대신 프랑스, 영국, 프로이센 간 합의를 통해 윌리엄(William)은 모든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가로 풀다와 코르베이 수도원의 수도원 영지로 보상받기로 했다(나사우-오렌지-풀다 공국 참조).[84]
1795년 이후 영국이 점령했던 식민지 대부분이 세일론을 제외하고는 회복되었으며, 케이프 식민지도 포함되었다. 아시아 평의회[85]는 식민지 관리 개혁을 서둘렀다. 디르크 판 호헨도르프(Dirk van Hogendorp (1761–1822))는 개혁안을 제안했지만, 기득권층의 저항에 부딪혔다. 새로운 식민지 헌장이 공포되었을 때, 호헨도르프의 제안은 축소되었다. 평의회의 민주주의자들은 오라녜주의 반동파에 밀려났다. 1803년 전쟁이 재개된 후, 대부분의 반환된 식민지는 다시 영국에 점령당했다. 그러나 자바는 1811년까지 네덜란드령으로 남아 있었다.[86]
평화의 결과로 헤이그 조약의 여러 조항들이 효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나폴레옹은 네덜란드의 이익을 위해 프랑스군을 감축하거나 플러싱 항구를 반환하는 것을 꺼렸다. 그는 네덜란드가 식민지에 자체 군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프랑스군의 "보호"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프랑스군의 철수는 영국에게 필수적인 사항이었다. 영국은 네덜란드가 적대적인 세력에 지배당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었고, 바타비아 공화국은 스스로 중립성을 지킬 수 없었다.[87]
평화는 경제 분야에서 실질적인 이점을 가져왔다.[88] 개방 경제였던 공화국은 방해받지 않는 무역이 필요했다. 전쟁으로 해상 무역이 거의 중단되었지만, 평화는 네덜란드 운송 무역의 부흥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독일 항구로의 무역 패턴 이동과 어업 쇠퇴와 같은 일부 변화는 돌이킬 수 없었다.[89]
1803년 5월,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나폴레옹은 영국 침략 계획을 통해 대영제국을 파괴하고자 했다. 프랑스는 바타비아 공화국이 이 계획에서 중요한 지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Staatsbewind(국무위원회)는 네덜란드에 주둔하는 프랑스와 바타비아군의 총 병력을 3만 5천 명으로 하는 협약에 동의해야 했다. 게다가 9,000명의 바타비아 군인들이 해외 원정에 투입될 예정이었다. 네덜란드는 1803년 12월까지 1등함 5척, 프리깃 5척, 총선 100척, 수송선 250척을 제공해야 했다.[90]
나폴레옹은 경제전을 시작했고, 영국은 맞대응 보이콧으로 맞섰다. 이는 1806년 대륙봉쇄령을 예고했다. 1803년부터 네덜란드 무역은 교살되기 시작했다. Staatsbewind는 1803년 7월 적국으로부터의 모든 상품 수입을 금지했지만, 효과는 미미했다. 공화국은 영국에 대한 프랑스의 경제 제재를 무력화하는 "유럽으로 통하는 구멍"이었다. Staatsbewind 구성원들과 그들의 친구들이 은밀한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기 때문에 프랑스의 인내심은 바닥나고 있었다.[91] 프랑스 사령관 오귀스트 드 마르몽이 1804년 11월 네덜란드 항구에서의 화물 감시 책임을 프랑스 해군 순찰대와 세관원에게 넘기라고 명령하면서 상황은 악화되었다.[92] 1804년 11월 23일 Staatsbewind는 바타비아 관리들이 프랑스의 명령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금지했다.[92]
바타비아 공화국의 마지막 대총사(Grand Pensionary)와 공화국의 종말이러한 반항적인 행위는 바타비아 정권의 운명을 결정지었다. 나폴레옹은 네덜란드의 더딘 행정과 비효율성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1804년 봄부터 탈레랑의 중재로 파리에서 바타비아 사절 루트허르 얀 쉼멜페닌크(Rutger Jan Schimmelpenninck)와 비공식 회담이 진행되었다. 쉼멜페닌크는 나폴레옹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었고, 네덜란드에서 강력한 인물이었다. 나폴레옹은 그를 네덜란드 종속국가의 아우게아스의 외양간을 청소할 인물로 여겼다.

쉼멜페닌크는 자신을 "국가적 화해"를 이룰 인물로 보았다. 그는 보수파와 오라녜주의자들과의 화해에 동의했고, 이들이 그의 권력 기반이 될 것이었다. 쉼멜페닌크는 연방주의자였지만, 나폴레옹이 네덜란드 국가의 중앙 집권적 조직을 선호한다는 뜻을 밝히자, 1804년 여름 ''Staatsbewind''와 협의하여 작성한 새로운 헌법 초안에 이를 적용했다. 1804년 11월, 쉼멜페닌크와 ''Staatsbewind'' 대표단은 나폴레옹에게 이 초안을 제시했다. 프랑스 세관원에 대한 충돌이 발생했을 때, 나폴레옹은 신속한 결정을 내렸고, 바타비아 공화국은 새로운 헌법과 정부를 갖게 되었다.[93]
1805년 5월 10일, 쉼멜페닌크는 바타비아 공화국의 ''Raadpensionaris''(대총사)로 취임했다. 이 직책은 총독의 직책과 유사했지만, 쉼멜페닌크는 더 많은 권한을 가졌다. 그의 직책은 19명의 입법부 의원에 의해 방해받지 않을 단독 집행부였다. 총사는 프랑스 국무원(Conseil d'État)과 유사한 ''Staatsraad''와 국무장관의 도움을 받아 업무를 수행했다.[94] 헌법 변화는 국민투표를 통해 353,322명의 유권자 중 14,903표(반대 136표)의 찬성표를 얻었다. 기권은 "묵시적 찬성"으로 간주되었다.[95]
쉼멜페닌크 정권은 짧은 기간 동안 이전 정권들보다 더 많은 것을 성취했다. 고겔의 일반 과세 계획이 1805년 6월에 제정되었고, 네덜란드 철자법 통일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농업부와 수리학부가 설립되었고, ''Pharmacopeia Batavia''가 약물 규제를 시작했으며, 1806년의 학교법은 국가 공립 초등 교육 시스템을 조직했다. 1805년 7월의 지방 정부법은 최초의 네덜란드 공공 행정 시스템을 설립했다.[96]

그러나 프랑스는 이러한 개혁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이 프로그램의 열정은 프랑스의 이익에 반하는 민족주의를 나타낼 수 있었다. 영국 침공 계획은 해군력 부족으로 취소되었고, 네덜란드는 경제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카렐 헨드릭 페르 후엘(Carel Hendrik Ver Huell)은 해군 장관이 되었고, 탈레랑과 나폴레옹과 비밀리에 서신을 주고받았다. 나폴레옹은 그의 형제 루이 보나파르트(Louis Bonaparte)를 네덜란드 왕으로 임명하고자 했다.
페르 후엘은 쉼멜페닌크의 등 뒤에서 프랑스 후원자들과 음모를 꾸몄다. 쉼멜페닌크의 입지는 그가 실명해 가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약화되었다. 네덜란드 국무장관과 ''Staatsraad''는 제국에 합병되거나 나폴레옹의 친척 아래 새로운 왕국을 선택해야 했다. ''Groot Besogne''(대위원회)가 구성되어 황제와 협상을 진행했지만, 황제는 위원회와 이야기하는 것을 거부하고 페르 후엘을 통해서만 의사소통했다. 탈레랑은 루이에게 "네덜란드"의 왕관을 제안할 조건이 포함된 "조약"을 작성했다. 왕관의 통합 없음, 징병(conscription) 없음, 프랑스와의 통상 조약, 네덜란드의 기본적 자유 유지, 민정비(civil list)는 150만 길더로 고정되었다. 총사의 헌법은 사소한 변경을 제외하고는 유지될 예정이었다.[97]
위원회는 헤이그로 돌아갈 수 없었다. 쉼멜페닌크는 조약을 국민투표에 부치려 했지만 무시당했다. 그는 1806년 6월 4일에 사임했다. 다음 날 생클루 궁전(Château de Saint-Cloud)에서 위원들은 루이에게 "네덜란드"의 왕관을 받아달라는 "청원"을 제출했고, 그는 나폴레옹의 찬성 속에 기꺼이 받아들였다.[98]
5. 홀란드 왕국 (1806-1810)과 프랑스 합병 (1810-1813)
루이 보나파르트는 네덜란드 왕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네덜란드인들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나폴레옹은 네덜란드를 프랑스 제국에 재통합시키는 것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이익이라고 판단했다. 결국 루이는 1810년 7월 2일, 그의 아들 나폴레옹 루이 보나파르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퇴위했다. 나폴레옹 루이 보나파르트는 10일간 네덜란드를 통치했지만, 결국 네덜란드는 나폴레옹의 말처럼 "프랑스 강의 충적층"으로서 프랑스에 재통합되었다.[99]
이후 프랑스는 러시아 원정과 라이프치히 전투에서의 패배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다. 제국이 와해되면서 1813년 프랑스 점령군이 네덜란드를 떠났고, 네덜란드는 다시 독립 국가로 재건되기 시작했다.
6. 결론 및 역사적 의의
바타비아 공화국은 짧은 기간 존속했지만 네덜란드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연방 공화국을 해체하고 단일 국가 체제를 수립했으며, 민주주의적 개혁을 시도하고 중앙집권적 행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후 네덜란드 왕국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바타비아 공화국은 외세의 간섭과 국내 정치적 갈등 속에서도 자주적인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근대화를 추진하려는 노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특히 19세기 말 한국의 상황과 비교해 볼 때, 바타비아 공화국의 역사는 외세의 압력과 국내 개혁 세력의 갈등 속에서 근대 국가를 건설하려는 노력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바타비아 공화국은 프랑스의 위성국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의 근대화에 기여한 여러 정책들을 시행했다. 이 시기의 개혁은 이후 네덜란드 역사 발전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쉼멜페닌크의 중앙집권적 개혁은 국가 효율성 증대에 기여했지만, 나폴레옹의 간섭과 공화국의 종말은 외세 의존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비판받을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부 역사가들은 네덜란드 국민사회주의 운동(NSB)과 애국 혁명가들 사이의 유사점을 발견하고, 빌럼 5세를 네덜란드의 빌헬미나 여왕과 비교하기도 했다. 그러나 피터르 게일은 이러한 비교에 반대했다.[102]
현재 네덜란드 왕국의 중앙집권화된 국가의 특징 대부분은 바타비아 공화국의 업적, 특히 1848년 헌법에 의해 예고되었다. 이 헌법은 1798년 민주적인 ''Staatsregeling''의 중심 원칙을 회복했는데, 그 저자인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도 이를 인정했다.[105]
참조
[1]
서적
Door gelijkheid gegrepen: democratie, burgerschap en staat in Nederland 1795-1801
https://pure.uva.nl/[...]
2023-09-27
[2]
웹사이트
Volkstelling in de Nederlandsche Republiek, uitgegeven op last der commissie tot het ontwerpen van een plan van constitutie voor het volk van Nederland
http://www.volkstell[...]
2014-06-01
[3]
웹사이트
The Netherlands: country population
http://www.populstat[...]
2013-09-28
[4]
서적
Schama
[5]
서적
De Vries & Van der Woude
[6]
서적
Schama
[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Netherla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Schama
[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Netherlands
[10]
서적
Schama, Israel
[11]
서적
Schama
[12]
서적
Schama
[13]
서적
Schama
[14]
서적
Schama
[15]
서적
Pieter Stadnitski And Dutch Investment Banking, 1770-1815
https://www.proquest[...]
1971
[16]
간행물
HET HAAGSE PAPIERGELD VAN 1795
https://jaarboekvoor[...]
[17]
서적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Vol. 8
[18]
서적
Schama
[19]
서적
Schama
[20]
서적
Schama
[21]
서적
Schama
[22]
서적
Schama
[23]
서적
Schama
[24]
서적
Schama
[25]
서적
Schama
[26]
서적
Schama
[27]
서적
Schama
[28]
서적
Schama
[29]
서적
Schama
[30]
서적
Schama
[31]
서적
Schama
[32]
서적
Schama
[33]
서적
Schama
[34]
서적
Schama
[35]
서적
Schama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문서
Roman foederati
[48]
문서
The Chamavi merged into the confederation of the Franks; the Tubantes merged into the confederation of the Saxons.
[49]
문서
Part of East Francia after 939, divided in Upper Lorraine (as part of West Francia) and Lower Lorraine (as part of East Francia) in 959.
[50]
문서
Lower Lorraine—also referred to as Lothier—disintegrated into several smaller independent territories and only the title of a "Duke of Lothier" remained, held by Brabant.
[51]
문서
Lordship of Frisia and Lordship of Groningen (including the Ommelanden) after 1524 and 1536 respectively.
[52]
문서
Including County of Zeeland, that was ruled by neighboring County of Holland and County of Flanders (until 1432).
[53]
문서
Utrecht included Lordship of Overijssel (until 1528), County of Drenthe (until 1528) and County of Zutphen (until 1182).
[54]
문서
Duchy of Brabant included since 1288 also the Duchy of Limburg (now part of Belgium's Liège Province) and the "Overmaas" lands Dalhem, Valkenburg and Herzogenaath (now part of the Dutch Province of Limburg).
[55]
문서
The county, later duchy, of Guelders consisted of four quarters, as they were separated by rivers: situated upstream Upper Quarter (the present day northern half of the Dutch province of Limburg),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three downstream Lower Quarters: County of Zutphen (after 1182), Veluwe Quarter and Nijmegen Quarter. The three lower quarters emerged from the historic gau (country subdivision) gau Hamaland (named after the Chamavi tribe), and formed the present day province of Gelderland. Guelders did not include the Duchy of Cleves enclave Huissen and the independent counties of County of Buren and Culemborg, that were much later seceded to the province of Gelderland.
[56]
문서
Including County of Artois (part of Flanders until 1237) and Tournaisis.
[57]
문서
Throughout the Middle Ages, the bishopric was further expanded with the Duchy of Bouillon in 1096 (ceded to France in 1678), the acquisition of the county of Loon in 1366 and the county of Horne in 1568. The Lordship of Mechelen was also part of the Prince-Bishopric of Liège.
[58]
문서
The name Seventeen Provinces came in use after the Habsburg emperor Charles V had re-acquired the Duchy of Guelders, and an continuous territory arose.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Alexander Hamilton: A Life
Harper Collins
[62]
서적
[63]
서적
Pieter Stadnitski And Dutch Investment Banking, 1770-1815
[64]
웹사이트
HET HAAGSE PAPIERGELD VAN 1795
https://jaarboekvoor[...]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Schama의 저서)
[72]
서적
(Schama의 저서)
[73]
서적
(Schama의 저서)
[74]
서적
(Schama의 저서)
[75]
서적
(Schama의 저서)
[76]
서적
(Schama의 저서)
[77]
서적
(Schama의 저서)
[78]
서적
(Schama의 저서)
[79]
서적
(Schama의 저서)
[80]
서적
(Schama의 저서)
[81]
서적
(Israel의 저서)
[82]
서적
(Schama의 저서)
[83]
서적
(Schama의 저서)
[84]
서적
(Schama의 저서)
[85]
문서
Raad van Aziatische Bezittingen en Etablissementen (Council of Asian Possessions and Establishments)
[86]
서적
(Schama의 저서)
[87]
서적
(Schama의 저서)
[88]
웹사이트
Economic history of the Netherlands (1500–1815)
[89]
서적
(Schama의 저서)
[90]
서적
(Schama의 저서)
[91]
문서
Admiralty of Amsterdam
[92]
서적
(Schama의 저서)
[93]
서적
(Schama의 저서)
[94]
서적
(Schama의 저서)
[95]
서적
(Schama의 저서)
[96]
서적
(Schama의 저서)
[97]
서적
(Schama의 저서)
[98]
서적
(Schama의 저서)
[99]
서적
The American Review of History and Politics, And General Repository of Literature and State Papers
Farrand and Nicholas
[100]
서적
(Schama의 저서)
[101]
서적
(Schama의 저서)
[102]
서적
(Schama의 저서)
[103]
서적
(Schama의 저서)
[104]
서적
Motley's Dutch Nation: Being the Rise of the Dutch Republic (1555–1584)
[105]
서적
(Schama의 저서)
[106]
웹사이트
Volkstelling in de Nederlandsche Republiek, uitgegeven op last der commissie tot het ontwerpen van een plan van constitutie voor het volk van Nederland
http://www.volkstell[...]
2014-06-01
[107]
웹사이트
The Netherlands: country population
http://www.populstat[...]
2013-09-28
[108]
문서
로마의 포에데라티
[109]
문서
카마위족과 투반테스족의 연합 참여
[110]
문서
939년 이후 동프랑크의 일부, 959년 상로타린기아와 하로타린기아로 분할
[111]
문서
하로타린기아의 분열과 로티에 공작 칭호의 계승
[112]
문서
1524년 이후 프리스란트 영주령, 1536년 이후 그로닝언 영주령 성립
[113]
문서
제를란트 백국과 주변 국가의 지배 관계
[114]
문서
오퍼아이셀 영주령, 드렌테 백국, 즈토펜 백국 포함
[115]
문서
1288년부터 림뷔르크 공국과 오퍼마스 지역 포함
[116]
문서
겔더른 백국/공국의 구성 지역과 주변 지역
[117]
문서
아르투아 공국과 투르네 포함
[118]
문서
리에주 주교령의 확장과 영토 편입
[119]
문서
17주라는 명칭의 유래와 카를 5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